
[시사투데이 정미라 기자] 지방 자치단체가 스스로 지방세 관리와 지방재정을 종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차세대 지방세입과 지방재정 시스템이 본격적인 구축작업에 들어갔다.
행정안전부는 지난해 차세대 지방세와 지방세외수입 시스템 구축 착수에 이어 올해부터 차세대 지방재정 시스템 구축에 들어간다고 10일 밝혔다.
차세대 지방세입정보시스템은 행안부가 1,923억원을 투입해 신기술을 접목한 전국 통합 시스템이다. 국민들이 이용하는 온라인납부시스템과 세무직 공무원이 사용하는 업무용 시스템으로 나눠 개발된다.
차세대 세입정보시스템이 구축되면 온라인 세금 신고와 납부가 편리해지는 것은 물론 인공지능 스피커, TV 등을 통한 지방세·과태료 납부, 인공지능 챗봇 상담서비스를 통한 365일 24시간 맞춤형 상담이 가능하다.
또한 재정정보 공개로 지역주민이 직접 예산사업 편성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도 확대된다. 또한 자치단체와 거래하는 사업자들은 행정기관 방문 없이 온라인으로 대금을 청구할 수 있다. 지자체 지원을 받는 민간보조사업자도 자치단체 방문 없이 온라인으로 신청과 지원업무를 처리할 수 있게 된다.
차세대 지방재정관리시스템은 전국 243개 전 자치단체, 33만 지방공무원들이 예산편성과 지출, 결산 등에 사용하는 지방재정관리 인프라로 2022년까지 총 1,700여억원이 투입된다. 행안부는 올해 220여억원을 투입해 시스템 개발에 착수한다.
고규창 행안부 지방재정경제실장은 “차세대 지방재정 3대 시스템이 모두 서비스되는 2023년부터 세입정보⸱재정정보 실시간 연계로 지방재정의 세입부터 세출까지 전체 상황을 한눈에 볼 수 있게 된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