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정미라 기자] 행정구역상 경상남도 창원시에 속한 부산신항과 부산광역시 간 버스노선이 다양해져 부산신항 인근 아파트 주민들의 대중교통 불편이 크게 해소될 전망이다.
국민권익위원회 정부합동민원센터는 21일 창원시와 부산광역시가 참여하는 제4차 민원상담협의회를 개최하고 부산신항 인근 아파트 주민들이 요구한 ‘부산행 대중교통 불편 해소’ 대책을 마련했다.
부산신항 아파트 단지는 행정구역상 경상남도 창원시에 속하지만 주민들의 부산광역시 왕래가 잦은 편이다. 그러나 현재 부산신항 아파트 단지 바로 앞에서 부산광역시로 가는 시외버스는 하루 8회 운영하고 있는 1개 노선뿐이다. 또한 부산신항 인근 공장 근로자들을 위해 운행 중인 1009번 버스 정류장은 아파트 단지와 약 1㎞정도 떨어져 주민들이 이용하기 어려웠다.
앞으로 부산광역시는 부산 1009번 버스가 부산신항 아파트 인근(신항북로측)까지 운행하도록 노선을 변경한다. 부산 강서구 1번 버스도 용원교를 지나 부산신항 아파트로 이동하도록 해 부산행 버스와의 환승 편의성을 높이기로 했다.
창원시는 아파트 인근 신항북로에 대한 불법주정차 단속, CCTV 설치 등을 통해 1009번 버스를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창원 353번 시내버스 노선도 조정하기로 했다.
또한 창원시와 부산시는 버스 이용 수요가 많아질 경우 아파트 단지 바로 앞길(신항동로)로 버스노선을 변경하는 방안을 검토하기로 했다.
권익위 측은 “부산 1009번 버스 노선이 조정되면 주민들은 김해공항 등 부산지역까지 환승 없이 한 번에 이동할 수 있다”며 “부산 강서구 1번 버스와 창원 353번 버스 노선이 조정되면 부산신항 아파트에서 부산광역시로 이동할 수 있는 버스 노선이 다양해져 주민들의 이동편의성이 크게 향상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