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이윤지 기자] 코로나19 장기화에 대비해 호흡기⸱발열 환자의 체계적인 초기 진료를 위한 '호흡기전담클리닉'이 운영된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코로나19 장기화에 따라 의료기관과 의료인을 감염으로부터 보호하고 환자 진료에 공백이 발생하지 않도록 의료이용체계 개선방안을 추진한다고 4일 밝혔다.
먼저 ‘호흡기전담클리닉’을 운영해 의료기관을 감염으로부터 보호하고 환자를 안전하게 진료할 수 있도록 했다. 이는 코로나19 2차 유행 발생 가능성과 가을·겨울철 호흡기 환자 증가에 대비할 새로운 의료이용체계를 마련해야 한다는 의료계 제안을 반영한 조치다.
지자체에서 보건소, 공공시설 등이 공간을 제공하고 지역 의사가 참여하는 '개방형 클리닉'과 감염 차단 시설을 갖춘 의료기관을 지정하는 '의료기관 클리닉'의 두 가지 유형을 지정할 계획이다.
아울러 의료기관 의견수렴 결과 전화 상담과 처방은 기존 대면진료보다 어렵고 별도 인력과 추가 장비가 필요한 것으로 분석됐다. 의원급 의료기관에서 전화 상담·처방을 시행한 경우 진찰료 외 진찰료의 30% 수준으로 전화상담 관리료를 추가로 적용하기로 했다. 기존 대면진료와의 환자 부담 형평성을 고려해 전화상담 관리료는 건강보험에서 전액 부담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