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이한별 기자] 앞으로는 푸드트럭, 졸음쉼터, 지하상가 등에도 주소가 생긴다.
행정안전부는 주소체계 고도화 사업을 추진해 현재 도로와 건물 중심으로 부여돼 있는 주소를 다중이용 시설물과 공터까지 확대할 예정임을 3일 밝혔다.
주소체계 고도화 사업은 2차원 평면개념인 현행 도로명주소를 3차원 입체주소로 전환하고 건물에만 부여하던 주소를 지하, 시설물, 공간 등으로 확대하는 사업이다.
행안부는 2018년 경기 수원시 공원(공간)을 시작으로 지난해 충북 진천군 졸음쉼터(시설물), 올해 서울 송파구 잠실역 지하(공간) 등에서 시범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주소체계가 3차원으로 고도화되면 도로 위에서 일정 시간 개방해 운영되는 푸드트럭이나 도로 아래 위치한 지하상가, 공중에 떠 있는 다리 등에도 주소를 붙일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인공지능, 음성인식, 빅데이터 등 4차산업 핵심기술을 적용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된다.
한편, 행안부는 주소체계 고도화 시범사업의 성과를 스마트시티(지능형도시)에 우선 적용하기 위해 한국주택토지공사(세종 스마트시티), 한국수자원공사(부산에코델타시티), 한국국토정보공사(전주 디지털트윈) 등 주요 스마트시티 관련 기관 간 업무협약을 체결한다.
협약에서 한국과학기술은 자율주행 기술을 지원하고 국교교통과학기술진흥원은 실증연구를 담당하고 스마트시티별 특성에 맞는 주소기반 혁신성장산업 모형을 구현해 나가기로 했다.
이재관 지방자치분권실장은 “디지털 사회에서 주소는 중요한 위치소통 수단이다. 주소가 생활편의, 국민안전은 물론 미래사회 신산업의 동력이 되도록 하겠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