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이한별 기자] 질병관리청은 가을철에 주로 발생하는 진드기·설치류 매개 감염병을 예방하기 위해 농작업, 야외활동 시 주의를 당부했다.
야외활동 시 털진드기 유충에 물려 발생하는 쯔쯔가무시증은 1~3주 잠복기를 거친 후 고열, 오한 등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털진드기 유충이 활발히 활동하는 9월~11월 전체 환자의 90% 이상이 발생한다. 특히 올해는 전년대비 3주 빨리 매개 털진드기 유충이 강원 지역에서 처음 확인됐다.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은 바이러스를 보유한 작은소피참진드기에 물려 감염된다. 진드기에 물린 후 4~15일(잠복기)이 지나 고열, 구토 등 증상이 나타나며 치명률이 약 20%에 이르는 감염병이다. SFTS 매개 참진드기 밀도는 전년 동기간 대비 55% 낮은 수준이나 환자 발생은 전년대비 다소 증가해 예방수칙을 철저히 준수해야 한다.
또한 쥐 등 설치류를 통해 전파되는 렙토스피라증과 신증후군출혈열은 주로 가을철에 발생한다. 렙토스피라증은 렙토스피라 균에 감염된 동물 소변에 오염된 물을 통해 피부 상처가 노출될 시 감염된다. 신증후군출혈열은 감염된 설치류에서 분변, 오줌, 타액 등으로 바이러스가 배출된 후 건조된 바이러스가 사람의 호흡기를 통해 전파된다.
진드기 매개 감염병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치료제나 백신이 없으므로 진드기에 물리지 않는 것이 가장 최선의 방법이다. 농작업이나 벌초, 등산 등 야외활동 시 긴 소매, 긴 바지 등으로 피부노출을 최소화하고 귀가 후 옷 세탁, 샤워 등 예방수칙을 준수해야 한다.
야외활동 후 발열, 두통, 소화기 증상 등이 나타날 경우 즉시 의료기관을 방문해 진드기 물림이나 야외활동력을 알리고 치료를 받아야 한다.
설치류 매개 감염병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고여 있어 균 오염이 의심되는 물에서 작업을 할 경우 작업복이나 장화를 반드시 착용하고 쥐의 배설물 등에 접촉을 피하도록 해야 한다. 특히 야외활동이 많은 남자나 군인, 농부 등 고위험군은 신증후군출혈열 예방접종을 받도록 한다. 접종은 총 3회로 1개월 간격으로 2회 기본접종 후 12개월 뒤에 1회 추가 접종을 실시하면 된다.
질병관리청 정은경 청장은 “야외활동 후 발열, 두통 등 의심 증상 발생 시 즉시 의료기관을 방문해 진료 받을 것을 당부한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