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이지연 기자] 우리나라에 거주하는 외국인주민 수는 222만 명으로 총인구 대비 4.3%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행정안전부가 통계청의 인구주택총조사 자료를 활용해 발표한 ‘2019 지방자치단체 외국인주민 현황’에 따르면, 외국인주민은 모두 221만 6,612명인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2018년 11월 1일 기준 205만4,621명 대비 16만1,991명 증가(7.9%)한 것.
우리나라 총인구 5천177만9,203명 중 외국인주민 비율은 4.3%였다. 17개 시·도 인구와 비교하면 8번째에 해당하는 충청남도(218만 8,649명)와 대구(242만 9,940명) 사이에 해당하는 규모다.
유형별로는 한국국적을 가지지 않은 외국인근로자, 외국국적동포, 결혼이민자 등은 177만 8,918명(80.3%), 한국국적 취득자 18만 5,728명(8.4%), 외국인주민 자녀(출생)가 25만 1,966명(11.4%)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보면 경기 72만 90명(32.5%), 서울 46만 5,885명(21.0%), 경남 13만4,675명(6.1%) 순으로 외국인주민이 많았다. 수도권(서울·경기·인천)에서는 59.4%가 거주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군·구별로는 경기 안산(9만 2,787명)에 가장 많은 외국인주민이 거주하며 경기 수원(6만 7,073명), 경기 화성(6만 5,040명), 경기 시흥(5만 9,634명) 순으로 집계됐다.
외국인주민이 1만 명 이상 또는 인구 대비 5% 이상 거주하는 시·군·구는 95개 지역이며 경기 23개, 서울 17개, 경남 10개, 경북 9개, 충남 7개 지역 등이다.
이재관 지방자치분권실장은 “외국인주민이 실질적 삶의 터전인 지역사회를 중심으로 잘 정착하고 생활할 수 있도록 지역사회 정착지원 기초인프라 조성사업과 우수사례 공유 등 지자체를 지원해 나갈 계획이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