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이윤지 기자] “차마다 모두 바퀴가 있어 앞차에 화륜이 한번 구르면 여러 차의 바퀴가 따라서 모두 구르게 되니 우레와 번개처럼 달리고 바람과 비처럼 날뛰었다”
1876년 김기수는 ‘일동기유(日東記游)’에서 처음 본 기차를 이렇게 묘사했다. 당시 기차를 ‘쇠당나귀’라고도 표현했다.
행정안전부 국가기록원과 한국철도공사는 경인선 완전 개통 120주년을 기념해 9일부터 23일까지 용산역 맞이방(3층 대합실)에서 ‘철마의 길, 철로 위의 사람들’이라는 전시회를 연다.
백여년 전 기차는 서울에서 인천까지 걸어서 12시간 걸리던 것을 1시간 40분으로 줄여주는 획기적이고 혁신적인 문물이었다. 이번 전시는 크게 5개 부분으로 나뉜다.
1부는 불을 내뿜으며 달리는 수레 ‘화륜거’(火輪車)인 철도를 소개한 일동기유와 당시 한강철교 사진, 기관차, 선로 도면 등을 통해 한반도에 기차가 들어온 역사를 되짚어볼 수 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