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정미라 기자] 국토교통부는 2일 일반 버스가 오가는 실제 도로 상황에서 자율협력주행 기반의 대형 전기버스 운행을 시연했다.
자율협력주행은 자율주행차와 일반차량이 인프라와 협력해 안전한 도로주행을 구현하는 기술로 현재 서울, 제주 등 전국 600km에서 서비스를 제공 중이다.
이 날 자율협력주행 버스(level 3) 운행 시연은 세종시 간선급행버스체계(BRT) 노선인 세종고속시외버스터미널-도담동, 6km구간에서 이뤄졌다. BRT는 도심과 외곽을 잇는 주요한 간선도로에 버스전용차로를 설치해 급행버스를 운영하는 대중교통시스템이다.
시연은 운전자가 버스 시스템에 제어권을 전환한 후 버스는 50km/h에 맞춰 일반버스 주행 상황에서 자율협력주행을 실시했다. 주행 중에 교통신호정보를 받아(I2V) 교통신호에 맞춰 정지하고 신호가 바뀌면 운행을 재개했다. 선행차량의 주행정보와 도로정보를 후행차량에 제공(V2V)하는 기술도 선보였다. 정류장에서는 정해진 정차 칸 내에 정밀정차까지 완료했다.
자율협력주행 버스의 운행 상황을 모니터링 할 수 있는 관제센터 상황판을 선보여 버스에 탑재된 센서의 고장상황 등을 점검하는 기능도 시연했다.
또한 승객이 승하차를 예약하고 승하차 지점에 인접했을 때 승객에게 알림을 주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도 선보였다. 이날 가상의 승객은 한솔동 정류장에서 탑승을 예약한 후 탑승하고 정부세종청사 남측 정류장 하차를 예약한 후 내렸다.
국토부 측은 “차량통행이 적은 도로에서 중소형 버스로 시연했던 작년과 달리 이번 시연에서는 실제 버스가 운행하는 노선을 따라 대형 버스를 운행했다”며 “내년에는 자율주행 대형 버스에서 승객의 집 앞까지 운행하는 중소형 버스로 환승하는 자율협력주행 기반의 복합적인 환승 시스템까지 선보일 계획이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