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이윤지 기자] 서울역 쪽방촌이 공공주택사업으로 정비된다.
국토교통부, 서울시, 용산구는 5일 ‘서울역 쪽방촌 주거환경 개선을 위한 공공주택 및 도시재생사업 추진계획’을 발표했다.
서울역 쪽방촌은 1960년대 급속한 도시화·산업화 과정에서 밀려난 도시 빈곤층이 서울역 인근에 대거 몰리면서 형성됐다. 이후 수차례 도시정비사업 등을 통해 규모는 축소됐지만 아직도 1,000여 명이 거주하는 국내에서 가장 큰 쪽방촌으로 남아있다. 다른 지역의 쪽방촌과 유사하게 2평 미만의 방에 약 24만원 수준의 높은 임대료를 지불하고도 단열, 방음, 난방 등이 취약하고 위생상태도 열악한 주거환경에 놓여있다.
서울역 쪽방촌 정비는 공공주택사업으로 추진하며 한국토지주택공사(LH)와 서울주택도시공사(SH)가 공동사업시행자로 참여한다. 쪽방 주민의 재정착을 위한 공공주택임대(1,250호, 분양 200호) 1,450호와 민간분양주택 960호 등 총 2,410호의 주택을 공급한다.
먼저 철거되는 지역에 거주 중인 쪽방주민 약 150여명을 위한 임시 거주지는 사업지구 내 게스트하우스나 공원 내 모듈러 주택 등을 활용해 조성한다. 일반 주택 거주자 약 100여세대 중 희망 세대에게는 인근 지역의 전세․매입 임대를 활용해 임시 거주지를 마련할 계획이다.
임대주택은 현재 정부에서 추진 중인 통합공공임대주택으로 공급되고 현 거주자의 가구원 수를 고려해 1인 가구용과 다인가구용 주택을 적절히 배분해 구성할 예정이다.
지구 내 편입되는 토지 소유자에게는 현 토지용도, 거래사례 등을 고려해 보상할 계획이다. 주택단지 내 상가에는 영업활동을 이어갈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공공주택사업과 함께 주민들의 생활에 활력을 더하는 도시재생뉴딜사업도 연계해 추진될 계획이다. 쪽방주민이 거주하는 공공임대단지에는 쪽방 주민들의 자활과 상담 등을 지원하는 복지 시설을 설치해 주민들이 안정적으로 재정착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공공주택단지에는 입주민과 지역 주민 모두가 이용할 수 있도록 국공립 유치원, 도서관, 주민카페 등 편의시설도 설치할 계획이다. 사업부지 내 상가 내몰림 방지를 위해 공공주택 단지 내 상생협력상가를 운영할 예정이다.
이번 사업을 통해 쪽방 주민들은 기존 쪽방보다 2~3배 넓고 쾌적한 공간을 현재의 15% 수준의 저렴한 임대료로 거주할 수 있게 된다.
국토부 측은 “앞으로 주민의견 수렴을 거쳐 올해 지구지정 후 2022년 지구계획과 보상, 2023년 임시이주와 공공주택 단지 착공 후 2026년 입주, 2030년 민간분양 택지 개발완료를 목표로 추진할 계획이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