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김균희 기자] 남성 육아휴직자가 지난해 2만9천명으로 전년 대비 5.9%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고용노동부는 자녀의 맞돌봄 문화 확산으로 남성 육아휴직자 수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고 26일 밝혔다.
남성 육아휴직자 수는 2018년 1만7,665명, 2019년 2만2,297명, 2020년 2만7,423명, 지난해 2만9,041명으로 증가 했다.
전체 육아휴직자 중 남성 육아휴직자 비율은 2018년 17.8%, 2019년 21.2%, 2020년 24.5%, 2021년 26.3%로 지속적으로 늘고 있다. 특히 올해 1분기 남성 육아휴직자는 7,993명으로 전년 동기 6,359명 대비 25.6% 증가했다.
고용부는 “올해 ‘3+3 부모육아휴직제’가 신설되고 육아휴직급여 소득대체율이 월 통상임금의 50%에서 80%로 인상되는 등 제도개선 노력과 함께 자녀 맞돌봄 문화가 확산되면서 남성 육아휴직자가 꾸준히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3+3 부모육아휴직제'는 생후 12개월 이내 자녀를 위해 부모 모두 육아휴직을 사용하는 경우 첫 3개월간 통상임금의 100% 지급하는 제도로 월 최대 300만원을 받는다.
아울러 지난해 전체 육아휴직자 수는 11만555명으로 전년 11만2,040명 대비 1.3% 감소했다. 이 중 3~5세 자녀 육아휴직자는 2019년 1만2,561명, 2020년 1만4,029명, 지난해 1만2,946명으로, 8세 자녀 육아휴직자는 2019년 5,738명, 2020년 7,093명, 지난해 6,387명으로 줄었다.
이는 2020년과 달리 전국적인 휴원·휴교가 없어 자녀돌봄을 위한 육아휴직 수요가 줄어들었기 때문인 것으로 고용부는 분석했다.
기업별로는 중소기업 중 우선지원대상기업 소속 육아휴직자 수는 5만8,573명으로 전년 5만9,886명 대비 2.2% 감소했다. 대규모 기업 소속 육아휴직자도 5만1,982명으로 전년 5만2,154명 대비 0.3% 감소했다.
지난해 평균 육아휴직 사용기간은 9.5개월로 전년 대비 0.1개월 증가했다. 여성 근로자는 9.4개월로 전년 9.1개월 대비 0.3개월, 남성 근로자는 8.5개월로 전년 7.7개월 대비 0.8개월이 증가해 남성 육아휴직 사용기간이 더 많이 늘었다.
전체 육아휴직자의 57.9%가 자녀 생후 6개월 이내에 사용했고 13.8%는 7~8세 초등학교 입학기 자녀를 위해 많이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황보국 통합고용정책국장은 “근로자들이 육아휴직 제도를 더 많이 활용할 수 있도록 적극 안내해 육아 부담으로 인한 경력단절을 예방하고 일과 가정이 조화를 이룰 수 있는 기반을 확산해 나가도록 하겠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