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정인수 기자] 경기도 수원시와 충청북도 충주시가 탄소중립 그린도시로 변화하기 위해 공공건물 태양광 발전, 도시열섬 저감시스템 구축 등의 사업을 본격 추진한다.
환경부는 지역의 탄소중립을 선도할 ‘탄소중립 그린도시 사업’ 대상지 2곳으로 수원시와 충주시를 선정됐다고 27일 밝혔다.
‘탄소중립 그린도시 사업’은 우리나라가 탄소중립 사회로 전환을 본격화함에 따라 지역 중심의 탄소중립 이행 및 확산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환경부가 올해 새롭게 추진하는 사업이다.
이번에 선정된 그린도시 사업 대상지 2곳은 지역의 온실가스 배출 진단을 토대로 청정에너지 전환, 흡수원 확대, 순환경제 촉진 등 공간적 특성에 맞는 온실가스 감축 전략을 종합적으로 평가받아 최종 선정됐다.
수원시는 행정타운과 공동주택, 상업지구, 산업단지 등이 어우러진 고색동 일원에 △공공건물 건물에너지관리시스템(bems) 구축, 그린수소 생산 등 에너지 전환, △방치된 국공유지를 활용한 흡수원 확충, △폐기물 스마트 수거시스템 등을 추진해 '그린경제로 성장하는 탄소중립 1번지 수원' 을 만들 계획이다.
충주시는 주거·상업·공공 중심의 기업도시 일부 지역인 용전리 일원을 대상지로 △수소모빌리티 스테이션 조성 등 에너지 전환, △탄소흡수 군집식재숲 조성 등 흡수원 확충, △도시열섬 저감시스템 구축 등을 핵심사업으로 ‘국토의 중심, 탄소중립 그린도시의 중심이 되는 충주’를 만들 계획이다.
이번 그린도시 사업은 올해부터 5년간 시행될 예정으로 한 곳당 400억 원의 사업비가 투입된다.
장기복 환경부 녹색전환정책관은 “탄소중립 그린도시 사업을 통해 온실가스 저감을 위한 도시의 변화가 본격적으로 시작됐다. 관련 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성과가 전국적으로 확산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