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이윤지 기자] 정부가 공간정보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8개 대학을 특성화대학으로 지정한다.
국토교통부는 부처 협업형 '공간정보 혁신인재 양성 사업'의 효율적 추진을 위해 국토교통부, 교육부, 한국연구재단, 공간정보산업진흥원과 2일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부처협업형 혁신인재 양성 사업은 교육부의 예산지원을 바탕으로 각 부처에서 미래 4차산업혁명 시대의 신기술 대응 혁신인재 양성 기관으로 선정된 대학에 3년간 교육비를 지원하는 사업이다.
공간정보는 4차산업혁명 디지털 경제시대의 핵심 인프라로 인공지능, 플랫폼 등과 결합해 미래의 핵심 산업으로 부각되고 있다.
국토부는 미래 융복합 공간정보 전문가를 양성하기 위해 대학교 8곳을 공간정보 특성화대학교로 지정해 올해부터 3년간 총 45억원을 지원한다. 지원항목은 교육·연구 환경개선비, 교육기자재 구입·운영비, 장학금, 교원 인건비다.
앞서 국토부는 공간정보 특성화대학교 신규 지정을 위한 절차를 진행하고 있다. 이달 중 본 사업 지정 위탁기관인 공간정보산업진흥원의 평가를 거쳐 6월 초 8개 대학을 특성화대학으로 지정해 7월부터 교육비를 지원할 예정이다.
국토부 강주엽 국토정보정책관은 “그간 공간정보 특성화 고등학교·전문대학·대학원에 대한 지원을 통해 미래의 공간정보 인력수요에 꾸준히 대비해 왔다”며 “이번 사업을 통해 시장에서 필요로 하는 융복합 공간정보 인재 양성을 확대해 공간정보 산업이 더욱 발전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 하겠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