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김애영 기자] 청소년이 필요한 정책을 직접 발굴해 정부에 제안하는 ‘청소년특별회의’가 출범한다.
여성가족부는 청소년 정책참여기구인 ‘2022년 청소년특별회의’가 20일 서울 정동 1928 아트홀에서 출범식을 갖고 활동을 시작한다고 밝혔다.
2005년부터 운영된 ‘청소년특별회의’는 청소년이 직접 범정부적 차원의 청소년정책을 발굴해 정부에 제안하는 전국 단위의 회의체다. 각 지역을 대표하는 17개 시·도 청소년참여위원회 청소년과 중앙부처에서 선발한 청소년을 포함해 총 500여 명으로 구성돼 있다.
‘청소년특별회의’는 지난 17년 간 583개의 정책과제를 제안해 그중 521개(89.4%)가 반영됐다. 지난해에는 30개의 과제를 제안해 28개가 정부 정책에 적용됐다.
이 중 2016년 청소년증 사용 활성화 방안의 하나로 청소년증에 교통카드와 선불결제 기능 추가를 제안해 2017년부터 시행되고 있다. 2019년에는 학교 밖 청소년에 대한 무상급식 지원을 확대하는 과제를 제안해 당시 일부 지자체에서만 시행되고 있던 학교 밖 청소년에 대한 무상급식 지원이 전국으로 확대되는 성과를 거뒀다.
올해 청소년특별회의 정책 주제는 ‘보호’다. 청소년위원들은 한 해 동안 정기적인 토론과 활동을 통해 ‘보호’와 관련된 청소년 정책을 발굴하고 9월 ‘본회의’에서 최종 정책과제를 확정해 정부에 건의하게 된다.
아울러 여가부는 청소년의 사회 참여에 대한 관심도 증가, 청소년의 사회 참여를 위한 법‧제도적 기반 확대 등 환경 변화에 발맞춰 다수의 청소년이 정책과정에 참여할 수 있도록 ‘대한민국청소년 원탁회의’, ‘청소년 온라인 정책제안 공모전’ 등 다양한 청소년 참여제도를 운영하고, 제안된 정책들을 청소년특별회의와 공유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