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이윤지 기자] 전 세계적으로 약 3만2천마리가 남아 있는 것으로 추정되는 해양보호생물 '알락꼬리마도요'가 서해 갯벌에서 한 달 정도 머물다 시베리아로 이동한 것이 확인됐다. '
해양수산부는 해양환경공단과 함께 도요·물떼새에 속한 알락꼬리마도요가 우리나라 서해 갯벌을 중간기착지로 이용한 후 번식을 위해 약 3,523 ㎞ 떨어진 러시아 캄차카 반도로 이동했다고 7일 밝혔다.
해수부와 공단은 국가 해양생태계 종합조사를 통해 지난 4월부터 약 두 달간 세계자연유산인 서천갯벌 유부도에 도래한 알락꼬리마도요에 위치추적기를 부착해 이동경로를 추적했다.
알락꼬리마도요는 4월 19일 유부도 갯벌에서 한 달 정도 머물다 다음달 17일 국내 동해안 지역을 통과해 18일 1,716 ㎞ 떨어진 러시아 사할린까지 약 17시간에 걸쳐 이동했다. 이후 사할린 섬 주변 해안을 이동하며 8시간을 머문 뒤 20시간을 비행해 19일 캄차카반도에 도착해 현재까지 캄차카 강에서 머물고 있다.
2016년 해양보호생물로 지정된 알락꼬리마도요는 국제자연보전연맹(IUCN) 적색목록 멸종위기종으로 등재돼 국제적으로 보호받고 있는 종이다.
몸과 깃에 황갈색과 흑갈색 등의 얼룩무늬와 줄무늬가 있는 알록달록한 꼬리를 가진 몸길이 53~66㎝의 큰도요로다. 머리 길이의 3배에 달하는 아래로 길게 굽은 부리를 이용해 갯벌생물을 잡아먹는다.
이재영 해수부 해양생태과장은 "우리나라 서·남해 갯벌은 월동과 번식을 위해 시베리아에서 호주까지 1만여 ㎞를 이동하는 알락꼬리마도요에게 충분한 휴식과 먹이를 공급하는 중요한 중간 기착지 역할을 한다"며 "앞으로 알락꼬리마도요를 비롯해 세계자연유산인 한국의 갯벌을 찾는 바닷새 보호를 위해 우리나라 갯벌 보전 관리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