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김균희 기자] 전국 122개 지방자치단체가 지방소멸대응기금 활용을 위한 투자계획을 제출했다.
행정안전부는 인구감소지역 89개, 관심지역 18개, 서울과 세종을 제외한 시·도 15개를 포함한 122개 지방자치단체가 한국지방재정공제회에 투자계획을 지난 5월 제출했다고 8일 밝혔다.
지방소멸대응기금은 올해 1월 지방자치단체 기금관리기본법 및 시행령 개정으로 도입됐다. 기존 지역상생발전기금 운용을 위해 17개 시도로 구성된 지방자치단체 조합에 설치된다.
인구감소지역·관심지역에서 제출한 투자계획은 평가를 거쳐 결과에 따라 지자체별 지방소멸대응기금 배분금액이 결정된다.
올해는 지방소멸대응기금 도입 첫 해로 각 지자체는 2022년과 2023년 투자계획을 함께 제출했다. 제출된 투자계획 을 보면 올해 총 811건, 내년에는 총 880건 규모의 사업이 포함됐다. 투자계획 평가를 거쳐 올해 총 7,500억 원, 내년 1조 원을 배분할 예정이다.
분야별로는 문화·관광, 산업·일자리, 주거 3개 분야가 사업 건수에서 70% 이상 비중을 차지했다. 제출된 투자계획은 올해와 내년 각각 811건, 880건이다. 문화·관광, 산업·일자리, 주거 등으로 높은 비중을 보였다.
이번 투자계획은 사업 우수성, 계획 연계성, 추진체계 적절성 등을 평가해 8월 초까지 배분금액을 결정할 예정이다.
한창섭 행안부 차관은 “올해 처음으로 수립하는 지방소멸대응기금 투자계획을 통해 인구감소‧지방소멸 문제에 지역이 주도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