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이지연 기자] 우리나라 최초의 6점식 한글점자가 복원됐다.
행정안전부는 국가기록원은 4일 점자의 날을 맞아 우리나라 최초의 6점식 '한글점자(훈맹정음)' 육필원고와 점자관련 기록물을 복원해 공개한다.
국가등록문화재인 '한글점자'는 송암 박두성(1888~1963) 선생이 창안한 훈맹정음의 사용법을 기록한 육필원고다.
당시 맹인 교육에는 평양점자라 부른 4점식 뉴욕점자가 사용되고 있었으나 자음의 초성과 종성이 구별되지 않아 자모가 두 칸으로 제자돼 문자로는 큰 결함을 갖고 있었다.
박두성 선생은 4점식 점자가 아닌 6점식 점자를 토대로 한글 점자를 만들기 위한 연구를 시작했다. '배우기 쉽고 점 수효가 적고 서로 헷갈리지 않아야 한다'는 세 가지 원칙에 기초해 만들어진 한글점자는 1926년 11월 4일 '훈맹정음'이란 이름으로 반포됐다.
훈맹정음은 시각장애인들이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소리나는 대로 쓰고 쓴 대로 읽을 수 있도록 제자된 것이 특징이다.
광복이 되자 박두성 선생은 인천에서 점자 주간 회람지 '촉불'을 6년 동안 200여 호 발간했다. 촉불은 사용 후 폐기하는 장부에 점자를 찍어 재활용한 기록물로 박두성 선생이 시각장애인들에게 세상 돌아가는 소식을 전하기 위해 제작했던 주간 회보다.
이번에 복원된 촉불88호에는 '영결 김구 선생'이라는 제목으로 김구 선생의 영결식이 엄수됐던 1949년 7월 15일의 비통한 분위기와 이범석 총리의 축사 등에 관한 내용이 점자로 상세히 담겨있다.
점자에 대한 표준안을 마련하고 최초로 제정·공포했던 '한국점자규정제정'도 복원됐다.
이들 기록물은 올해 7월부터 약 4개월에 걸쳐 복원됐다. 한글점자와 촉불은 오랫동안 전시, 열람 등에 활용되면서 기록물의 산성화가 심해져 가장자리의 바스라짐과 결실, 변색 등의 훼손으로 복원처리가 시급한 상태였다.
기록물의 훼손상태를 정밀하게 진단하고 세척을 통해 표면 오염물질을 제거해 기록물의 가독성을 향상시켰다. 원본과 유사한 한지로 결실부를 보강하고 탈산처리를 실시해 기록물의 보존성을 강화했다.
최재희 국가기록원 원장은 "특수교육의 선구적 개척자였던 송암 박두성 선생의 ‘한글점자’와 관련된 기록물이 복원되어 잘 활용될 수 있게 된 점을 기쁘게 생각한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