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윤용 기자] 윤석열 대통령은 24일 "KAI의 항공기 조립 공장 안에서 여러분과 이렇게 방위산업수출전략회의를 갖게 돼서 매우 의미가 크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경남 사천 한국항공우주산업(KAI) 조립공장에서 열린 방산수출전략회의에 참석한 자리에서 "우리 방산이 걸어온 길은 도전의 연속이었고 무에서 유를 창조하는 여정이었고 우리 손으로 만든 무기 하나 없던 우리가 지금은 세계 최고 수준의 차세대 이지스 구축함을 건조하고 최첨단 기술의 전투기를 개발하는 방산 강국으로 자리매김했다"고 역설했다.
윤석열 대통령은 이어 "올해는 역대 최대 규모의 방위산업 수출 실적을 거뒀으며, 폴란드, 호주, 노르웨이를 비롯해서 세계 여러 국가가 우리와 방산 협력을 희망하고 있다"고 했다.
윤 대통령은 "방위산업은 미래 신성장 동력이자 첨단산업을 견인하는 중추다. 미래전의 게임체인저급 무기체계를 개발할 수 있는 기술경쟁력을 확보하고, 방산의 구조를 내수 중심에서 수출 위주로 전환해 자생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 생태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언급한 뒤 "정부는 방위산업이 국가안보에 기여하고, 국가의 선도 산업으로 커나갈 수 있도록 적극 뒷받침할 것"이라고 약속했다.
특히 "방산 수출은 우리의 안보뿐만 아니라 국제사회의 평화와 안정에 기여하고 우방국들과의 연대를 한층 강화시켜 줄 것"이라면서 "일부에서는 방산 수출로 인한 우리 군의 전력 공백을 운운하며 정치적 공세를 가하기도 한다. 정부는 철저한 군사 대비태세를 유지하면서 방산 수출을 적극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 "범정부 방산 수출 지원체계를 마련할 것"이라며 "방산 수출이 원전, 건설 인프라 분야 등 산업 협력으로 확대되도록 범정부 차원의 지원을 강화하겠다"고 강조했다.
윤석열 대통령은 "다양한 기업 지원을 통해 방위산업의 수출 경쟁력을 확보할 것"이라며 "수출형 무기체계의 부품 개발과 성능 개량을 지원하고, 부품 국산화를 확대하는 등 맞춤형 수출 지원 산업을 강화하겠다"고 했다.
아울러 "우리 군은 우방국과 국방 방산 협력을 확대하여 한국 방산에 대한 신뢰를 제고하고, 수출 대상국의 교육 훈련과 운영 노하우 전수, 그리고 후속 군수 지원 등 패키지 지원을 적극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끝으로 "이 전체를 아우르는 시스템이 바로 방위산업이고, 국제사회의 평화에 기여하는 것"이라며 "방산기업 역시 정부 그리고 군과 긴밀한 협력체제를 유지해 달라"고 당부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