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김애영 기자] 여성가족부는 지역 사회의 디지털 성범죄 대응과 피해자 지원 강화를 위해 현재 10개 지역에서 운영 중인 '디지털 성범죄 지역 특화상담소'를 내년부터 14개소로 확대해 운영한다고 밝혔다.
올해 특화상담소를 운영한 경남, 경북, 광주, 대구, 제주, 충북 등 10개 시‧도에 이어 신규로 세종, 울산, 전남, 충남 지역을 추가 선정했다. 특히 인천과 부산은 자체적으로 운영하고 있는 디지털 성범죄 피해자 전담 지원기관에서 디지털 성범죄 특화 프로그램 사업도 통합해 지원한다.
특화상담소는 디지털 성범죄 피해자가 지역 내에서 전문 상담사를 통해 피해회복을 위한 전 과정을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지난해부터 시작됐다.
불법촬영물과 개인 신상이 유포될 수 있다는 불안감으로 일상생활이 어려운 피해자에게 지속적인 상담과 상황에 적합한 맞춤형 치유회복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의료서비스가 필요한 피해자에 대해서는 일반 성폭력피해자 의료비를 통해 지원하거나 인근 성폭력피해상담소 등으로 연계해 지원한다.
수사‧법률 지원의 경우 (사)한국성폭력위기센터 등에 무료법률지원을 연계하고 수사기관이나 법정에서 신뢰관계인 동행 서비스 등도 지원한다.
올해 특화상담소를 통한 상담‧삭제지원‧연계 등 피해지원 건수는 올해 10월 31일 기준 총 1만3577건으로 치유회복 프로그램 지원도 754건에 달했다.
김현숙 여가부 장관은 "지역특화상담소를 통한 밀착 지원으로 디지털 성범죄 피해자들이 안전하게 일상으로 복귀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