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정미라 기자] 전체 온실가스 배출량의 45.1%, 미세먼지 38%, 폐기물 19%를 배출하는 산업단지의 환경문제를 개선하는 스마트그린 산업단지 사업이 본격화되고 있다.
국토교통부는 27일 대구율하 도시첨단산업단지를 '스마트그린 국가시범산업단지'로 지정했다고 밝혔다.
스마트그린산업단지는 입주기업과 기반시설·주거시설·지원시설·공공시설 등을 디지털화하고 에너지 자립과 친환경화를 추진하는 미래형 산업단지다.
이번 지정은 지난 7월 새만금 국가산업단지에 이은 전국 두 번째다. 특히 외곽지역에 대규모로 조성되는 국가산업단지와 달리 도심권에 입지한 도시첨단산업단지를 대상으로 추진된다.
우선 산업단지 내 저류지 상부, 폐도부지 등에 태양광 1,213KW과 타 신재생 에너지 설비 대비 소요 면적이 작은 연료전지 2.64MW를 설치해 도심 내 최적화된 신재생에너지로 계획했다.
태양광 등 신재생에너지의 불규칙한 발전량을 안정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에너지 저장장치(ESS) 설치와 분산된 신재생에너지를 연계하고 에너지 사용을 최적화하는 스마트그리드 설치도 기본계획에 반영했다.
또한 대구율하 관제센터와 대구시·유관기관 간 네트워크 연결이 가능하도록 했고 스마트버스정류장, 스마트횡단보도, 전기차 충전기, 돌발상황 감시, 교통정보 제공 등 스마트 교통·안전 인프라도 구축할 계획이다.
아울러 도시 물순환 회복, 도시침수 방지 등을 위한 저영향개발 기법을 도입하고 산업단지 근거리인 금호강과의 연결로 조성, 금호강 조망축 확보, 스마트가든, 입체적 녹화 등 근로자의 휴식을 위한 공원과 녹지도 계획했다.
국토부는 스마트그린 국가시범산업단지 조성 과정에서 분양가 상승으로 인해 입주기업에 부담이 전가되지 않도록 국가시범산단 2개소에 대해 내년 기본·실시설계비 5억원을 포함해 2026년까지 사업비로 202억원을 시행자에게 지원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