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이윤재 기자] 성인 10명 중 8명은 한 달에 한 번 이상 등산이나 숲길체험 등을 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산림청에서는 '2022년 등산 등 숲길 체험(도보 여행(트레킹)길, 산림레포츠길, 탐방로, 휴양·치유길) 국민 의식 실태조사' 결과를 8일 발표했다.
전국 만 19세 이상 79세 이하 성인 남녀 1,800명을 대상으로 실시했다.
조사 결과 한 달에 한 번 이상 등산이나 숲길 체험을 하는 인구는 전체 성인 남녀의 78%인 약 3,229만 명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년 대비 1% 증가한 수치다.
등산 인구는 74.1%로 전년(62.3%) 대비 11.8% 증가한 반면 숲길 체험은 81.2%로 전년(89.5%) 대비 8.3% 감소했다.
남성 등산·숲길 체험 인구는 80%로 1% 증가했고 여성은 77%로 2% 늘었다. 연령대별로는 60대 이상이 91%, 50대 85%, 40대 71%, 30대 70%, 20대59%로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충청권이 82%로 가장 높았다. 이어 영남권(81%), 호남권/제주(80%), 서울(79%), 경기/인천/강원(77%) 순이었다. 서울은 2018년 이후 등산·숲길 체험 인구 증가율이 정체된 가운데 다른 지역의 등산·숲길 체험인구는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등산하는 이유로는 '건강을 위해서'라는 응답이 75%로 가장 높았다. 이어 '산을 걷는 것 자체가 좋아서' 49%, '경치·분위기가 좋아서' 48%로 나타났다.
등산 인구의 91%는 집 주변 야산을 두 달에 한 번 이상 오르고 근교에 있는 산은 83%가 두 달에 한 번 이상, 설악산·지리산·태백산과 같은 큰 산은 13%가 두 달에 한 번 이상 오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등산 인구 중 39%는 가족과 함께 가는 경우가 많았고 혼자 32%, 친구·선후배·직장동료와 함께 23% 순으로 응답률이 높았다. 등산 소요 시간은 3∼4시간(41%)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2시간 이하(38%), 5∼6시간(15%), 7∼8시간(3%), 8시간 이상(3%) 순으로 나타났다.
숲길 체험 시 불편사항으로는 화장실 부족(54%)이 가장 높았다. 이어 휴식시설 부족(30%), 음수 시설 부족(30%), 안전 및 방범 시설 부족(28%), 안내판 미비(25%), 부실한 숲길 체험코스 설명 자료(22%) 순으로 나타났다.
숲길 체험에 있어 바라는 점은 안전한 숲길 체험 코스(43%), 피로감이 없는 숲길(42%), 가족들과 부담 없이 즐길 수 있는 쉬운 숲길 체험 코스(42%), 전국 숲길 체험코스 주변 여행 정보 제공 필요(29%) 순으로 나타났다.
등산이나 숲길 체험에 관한 자료나 정보는 주로 인터넷 카페나 블로그(60%)에서 얻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영신 산림휴양등산과장은 "2022년도 등산 숲길 체험 국민 의식 실태조사 결과를 숲길정책에 적극 반영해 국민이 편리하고 안전하게 숲길을 이용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