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이윤재 기자] 북한의 도발이 지속되는 상황 하에서 초‧중‧고 학생과 교사들의 통일 인식에도 변화가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통일부는 초·중·고 학생과 교사들의 통일 인식, 통일교육 현황 등을 파악하기 위해 교육부와 전국 시도 교육청의 협조를 받아 실시한 '2022년 학교 통일교육 실태조사'를 17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초중고 총 7만869명을 대상으로 지난해 10월 18일부터 11월 22일까지 온라인으로 진행됐다.
조사 결과 북한을 '협력' 대상으로 보는 인식이 감소했고 '경계' 대상으로 보는 인식은 증가했다. '북한이 협력 대상이다'고 응답한 비율은 학생 38.7%로 전년 조사 52.6% 대비 줄었다. 교사는 76.9%로 전년 80.3% 대비 13.9% 감소했다. '북한을 경계대상이다'고 보는 응답은 학생이 2021년 27.1%에서 38.1%로 11.0% 늘고 교사는 9.3%에서 11.8%로 2.5% 증가했다.
통일 필요성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은 2021년 61.2%에서 지난해 57.6%로 3.6% 감소했고 교사는 85.6%에서 86.7%로 전년 조사와 비슷했다.
통일이 필요한 이유로 학생과 교사 모두 '전쟁위협 해소'를 가장 많이 선택했다. 통일 장애요인으로는 학생들은 '북한의 군사적 위협'을, 교사들은 '변하지 않는 북한체제'를 가장 많이 선택했다.
학교 통일교육은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학생 82.7%, 교사 90.4%가 '학교에서 통일교육 경험이 있다'고 답했다. 이는 전년 조사 응답 비율인 학생 78.5%, 교사 90.0% 대비 상승한 것.
교육 내용은 '통일이 가져올 이익', '남북간 평화의 중요성', '북한사람들의 생활과 사회모습' 순이었다. 교육 방법은 '동영상 시청', '강의, 설명식 교육'이 주를 이룬 반면 학생들은 '체험학습', '동영상 시청', '게임, 이벤트 방식' 순으로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일부는 "실태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미래세대가 관심을 가지는 '통일이익', '북한실상' 등에 대한 통일교육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