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김애영 기자] 다문화 아동·청소년이 학업‧진로에서 겪는 어려움을 덜 수 있게 취학전후 기초학습 지원과 한국어 교육이 강화된다. 다문화청소년에 대한 진로상담, 연계지도, 직업훈련 등 맞춤형 지원도 추진된다.
정부는 27일 이러한 내용의 ‘제4차 다문화가족정책 기본계획(2023~2027)’을 심의 의결했다.
2021년 기준 다문화가족 자녀는 29만 명에 이른다. 이중 만 7~18세 자녀는 17만5천명이다. 다문화자녀의 고등교육기관 취학률은 40.5%로 국민 전체 71.5%과 비교하면 현저히 낮다. 취학률 격차는 2018년 18%p에서 2021년 31%p로 벌어졌다.
정부는 가족센터에서 실시하는 다문화 아동 대상 취학 전후 기초학습 지원과 청소년기 진로상담을 확대한다. 기초학습 지원기관을 지난해 90개소에서 올해 138개소, 내년에는 160개소로 늘릴 계획이다.
다문화 청소년이 스스로 진로를 설계해 나갈 수 있도록 다양한 진로·직업프로그램을 지난해 78개소에서 올해 113개소로 확대한다. 다문화 청소년 특화 기숙형 기술고등학교인 폴리텍 다솜고등학교를 지속 운영하고 폴리텍 대학의 전문기술과정에 다문화 청소년의 참여를 확대하는 등 사회진출을 위한 직업교육도 강화한다.
결혼이민자가 경제활동에 적극 참여할 수 있도록 자립·취업 역량도 강화한다. 새일센터를 통해 기업 수요를 반영한 직업교육훈련을 실시하고 한국형 온라인 공개강좌(K-MOOC)를 통해 다양한 학문분야 강좌에 외국어 자막서비스를 제공한다.
이중언어 능력을 활용할 수 있는 일자리를 발굴하고 가족센터-새일센터-고용센터 등 기관 간 협력을 통해 구직자와 일자리를 연계하는 지원도 강화한다.
한국에 15년 이상 장기 정착한 결혼이민자는 2018년 27.6%에서 2021년 39.9%로 증가했다. 이혼이나 사별로 자녀를 홀로 양육하는 한부모가족은 10.9%다. 장기 정착한 결혼이민자를 위한 가족관계 증진, 노년준비교육 등 프로그램도 다양화한다.
다문화가족 내 가정폭력 실태를 파악하기 위한 연구, 조사를 추진하고 다누리콜센터-전문상담소-경찰 등 다기관 협업을 통해 신속한 긴급지원도 제공한다. 또한 폭력피해 이주여성 보호시설을 통해 상담, 통번역, 법률, 의료 등 서비스와 보호시설 퇴소 후 자립 지원을 위한 자립지원금 확대도 추진한다.
국민들이 쉽게 다문화이해교육을 접할 수 있도록 온오프라인 교육을 늘리고 결혼이민자가 직접 다문화 이해교육 강사로 활동할 수 있는 기회도 확대한다.
김현숙 여가부 장관은 "다문화 아동·청소년은 우리의 미래를 이끌어갈 소중한 자산이다. 다문화 아동·청소년이 학업과 진로 등에서 공정한 기회를 얻고 자신의 역량을 맘껏 펼쳐나갈 수 있도록 지원을 강화하겠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