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김균희 기자] 행정안전부가 지역축제, 공연장 등의 인파 규모를 사전에 파악하고 위험경보를 알려주는 ‘현장인파관리시스템 구축’ 사업을 추진한다.
현장인파관리시스템 구축은 지난 이태원참사 이후 현장 인파의 과학적 예측·관리를 위해 추진하는 사업이다.
이 시스템은 이동통신사의 기지국 접속데이터, 국토교통부의 공간정보 데이터 등 빅데이터를 연계해 분석한 밀집도를 4단계 위험경보로 알린다. 위험경보는 ‘관심’, ‘주의’, ‘경계’, ‘심각’ 단계로 구분해 지자체 상황실 내 지도 기반의 지리정보체계(GIS) 통합상황판에 표출된다.
지자체 상황판에 위험경보 알림이 뜨면 지자체는 상황실 폐쇄회로 텔레비전(CCTV) 영상을 확인한 후 경찰·소방이 상황을 공유하게 되는데 위험 수준에 따라 교통통제, 인파소산 등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다.
정부는 이번 보고회를 시작으로 11월 대도시 지역 시범 서비스를 거쳐 올해 말까지 시스템 구축을 완료할 계획이다. 2025년에는 2단계로 CCTV 영상분석 기능 보강사업이 추진된다. 보강사업은 인파밀집 현장 주변에 설치된 CCTV 또는 드론 영상을 자동으로 인식하고 인파밀집 여부를 분석하는 기술로 인파관리시스템에 탑재된다.
행안부 측은 "이태원참사 발생 당시 데이터를 적용해 인파 분석을 진행한 결과 통신사 접속데이터가 사고 발생시각 이전부터 급속하게 상승했음이 확인됐다"며 "이 시스템은 데이터 분석을 통해 위험신호를 감지하고 위험경보 발생 시 지자체서 경찰·소방과 함께 신속한 조치를 할 수 있도록 한다는 점에서 안전한 현장 인파관리와 적기 대응을 가능하게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