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김균희 기자] 만 6세 미만 영유아의 수족구병 의심환자 수가 한 달 전보다 3배 이상 증가했다.
질병관리청은 전국 109개 의료기관이 참여한 수족구병 표본감시 결과를 19일 발표했다.
19주차(5월 7일~13일) 영유아의 수족구병 의사환자 분율은 외래환자 1000명 당 13.8명으로 15주차(4월 9~15일) 4명 보다 3배 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질병청은 코로나19 유행 이후 3년만의 계절적 유행이 나타난데 이어 올해도 예년과 유사한 시기에 발생 증가가 확인되고 있다고 밝혔다.
수족구병은 입 안, 손, 발에 수포성 발진을 나타나는 것이 주된 증상이다. 발열, 무력감, 식욕 감소, 설사·구토와 같은 위장관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대부분의 경우 증상 발생 후 7~10일 이후 자연적으로 회복하지만 드물게 수막염, 뇌염, 심근염, 마비증상 등 합병증이 동반될 수 있다.
특히 6개월 미만의 영아, 수분을 충분히 섭취하지 못하는 경우, 2일 이상 발열이 나타나는 경우에는 반드시 의료기관의 진료를 받아야 한다.
수족구병은 백신이나 치료제가 없어 예방과 전파차단이 중요하다. 수족구병이 의심될 경우 다른 사람과의 접촉을 피하고 어린이집, 키즈카페 등 다중이용시설 이용을 자제해야 한다. 컵이나 식기 등은 따로 사용하고 생활공간의 분리가 필요하다.
외출 후, 식사 전‧후, 기저귀 뒤처리 후, 화장실 사용 후, 코를 풀거나 기침‧재채기 후, 환자를 돌본 후에는 반드시 손을 씻는다. 씻지 않은 손으로 눈, 코, 입을 만지지 않도록 주의한다.
질병관리청 지영미 청장은 “수족구병은 영유아에서 많이 발생하는 감염병인 만큼 어린이집과 유치원에서는 수족구병에 걸린 경우 완전히 회복한 후 등원할 수 있도록 안내해 줄 것을 당부한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