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김준 기자] 강원도에서 유일하게 '2023 드론 실증도시 구축사업'에 선정된 영월군이 기존 수동 관수 시스템을 대체한 정밀 스마트 관수·드론 원격탐사 기술을 노지 작물 중 하나인 고추재배에 적용해 성과를 올리고 있다.
이 사업의 핵심은 스마트 관수 시스템을 드론으로 촬영해 물 사용량과 생육 데이터를 얻어 보다 효과적인 고추재배 기술을 확보하는데 있다.
군은 지난 5월 18일부터 6월 24일까지 두 비교군의 물 사용량과 생육상태를 분석한 결과 비슷한 생육상태에서 수동 관수 지역은 평당 232.5리터를 사용했고 스마트 관수 지역은 평당 56.6리터의 물을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이는 수분 센서를 이용해 물 투입 시점을 적절하게 파악하고 이를 자동으로 투입하기 때문에 가뭄과 물 부족으로 인해 발생되는 피해를 효과적으로 대체할 수 있는 기술이라 할 수 있다.
또한 드론 촬영으로 전체 경작지의 작물 생육상태와 정도를 파악하는 생육 지도를 생성할 수 있어 농민에게 재배 효과를 파악하는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한다.
스마트 농법은 농민들의 노동력 절감에 기여하고 재배 데이터를 구축할 수 있어 초보 귀농인들이 보다 성공적으로 작물을 재배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이번 실증에서는 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이 구축한 다중센서 기반 작물 모니터링 드론은 RGB, 열화상, 분광 센서 등의 여러 센서로 동시에 촬영할 수 있어 세부적인 생장 상황을 모니터링을 할 수 있다.
40년간 고추를 재배한 신승근 님은 "드론 작물 모니터링 기술로 제작한 작물 생육 지도는 수십년간 경험으로 판단했던 생장 상태를 보다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었다"고 했다.
영월군 경제과 강상욱 드론팀장은 "이번 실증을 계기로 드론이 디지털 농업 영역으로도 확장해 드론 산업의 상용화에 기여하는 선례가 되기를 바란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