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김균희 기자] 정부가 잇따른 빈대 발생 신고로 국민 불안이 커짐에 따라 숙박시설, 찜질방, 목욕탕 등에 대한 집중 점검과 방제기간을 운영한다.
박구연 국무1차장은 7일 오후 정부서울청사에서 '제2차 빈대 확산 방지 정부합동대응회의'를 주재했다.
정부는 13일부터 내달 8일까지 4주간 '빈대 집중 점검 및 방제 기간'을 운영해 소관 빈대 취약시설에 대한 빈대 발생상황을 집중 점검하고 발견 즉시 신속한 방제 작업을 실시할 계획이다.
보건복지부는 일반·생활숙박업, 목욕업소, 사회복지시설 등을, 교육부는 기숙사를 포함한 학교시설과 보육시설을 점검한다. 문화체육관광부는 관광숙박업·관광 편의시설 등, 법무부는 교정시설 등, 국토교통부는 대중교통시설, 지자체는 지자체별 소관시설을 점검할 계획이다.
이번 점검을 위해 각 부처와 지자체는 시설물 관리자와 협력해 4주간의 주간 단위 계획을 수립하고 정부합동대응회의를 통해 주간 단위로 추진상황을 지속 점검하기로 했다.
또한 빈대 신고 및 발생현황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필요가 있어 국민콜 110나 지자체 보건소로 접수되는 전국 빈대 의심 신고와 실제 발생 현황 등을 주기적으로 파악하고 대책 수립에 적극 활용하기로 했다.
현재 국내에 승인돼 있는 피레스로이드 계열의 빈대 살충제의 효과가 부족하다는 지적이 있어 해외에서 효과와 안전성이 보장된 네오니코티노이드 계열 등의 살충제를 조속히 국내에 도입할 수 있도록 내주 중으로 긴급사용승인 및 변경 승인도 추진할 예정이다.
국내 빈대에 대한 보다 효과적인 대응을 위해 질병관리청을 주관으로 방역업체와 협력해 빈대 유입경로 추적 및 유입경로에 따른 살충제 저항성 분석 연구 등도 실시한다.
박구연 국무1차장은 "침구류, 대중교통 시설 등 국민들의 실제 생활공간에서 발생 신고가 잇따르고 있어 국민들의 불안이 배가될 수 밖에 없다"며 "특히 고시원, 쪽방촌 등 취약계층이 빈대 방제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만큼 지자체에서 집중 점검과 함께 방제 지원 방안도 함께 고민해주기 바란다"고 당부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