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김균희 기자] 1~12세 소아를 중심으로 마이코플라스마 폐렴균 감염증이 유행하고 있다. 예방백신이 없는 만큼 개인위생에 각별히 신경쓰는 것이 중요하다.
질병관리청은 17일 마이코플라스마 폐렴균으로 입원한 환자가 10월 3주 102명에서 11월 2주 226명으로 4주간 2배 이상 증가했다고 밝혔다. 특히 소아를 포함한 학동기 아동이 입원환자의 79.6%를 차지하고 있어 감염예방을 위해 개인위생수칙을 준수할 것을 당부했다.
입원환자를 보면 7-12세 111명(49.1%), 1-6세 69명(30.5%), 19-49세 17명(7.5%), 13-18세 14명(6.2%), 65세 이상 7명(3.1%), 0세 4명, 50-64세 4명 순으로 많았다.
마이코플라스마 폐렴균 감염증은 마이코플라스마 폐렴균에 의한 급성 호흡기 감염증으로 제4급 법정 감염병이다. 우리나라의 경우는 3~4년 주기로 유행하고 있다. 총 입원환자수는 2015년 1만2358명, 2019년 1만3479명으로 나타났다.
증상은 발열, 두통, 콧물, 인후통 등 일반적인 감기와 유사하나 한번 증상이 발생하면 약 3주간 지속돼 통상 1주일 정도인 감기와 차이가 있다. 인플루엔자 나 다른 호흡기 감염증과 함께 걸리면 일부 중증으로 진행되는 경우가 있어 의료기관 진료를 통한 조기진단 및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좋다.
환자의 기침, 콧물 등 호흡기 비말 또는 환자와 직접 접촉을 통해 감염될 수 있다. 같이 생활하는 가족이나 보육시설, 기숙사 등 집단시설로부터 전파가 일어나므로 호흡기 증상이 있는 경우 등교·등원을 자제하고 집에서 휴식할 것이 권고된다.
지영미 질병청장은 "마이코플라스마 폐렴균 감염증은 예방 백신이 없어 올바른 손씻기와 휴지나 옷소매로 입과 코를 가린 후 기침·마스크 착용 등 기침 예절을 준수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학교나 유치원, 어린이집 등 공동생활을 하는 공간에서는 식기, 수건, 장난감등의 공동사용을 제한하고 소아·학령기 아동들의 호흡기 증상 발생 여부를 관찰해 적시에 의료기관을 방문할 것을 당부한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