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정명웅 기자] 정부가 2030년까지 한국의 세계 전기차 충전시설 점유율을 현재 1.2%에서 10%까지 끌어올린다는 계획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3일 민관 합동 '모빌리티 충전산업 융합얼라이언스' 발족하고 전기차 충전기 산업 육성과 글로벌 시장 진출을 위한 정책방향을 발표했다.
국제에너지기구(IEA) 자료에 따르면 전 세계 전기차 이용량은 지난해 3천만대에서 2030년 2억4천만대로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충전기 보급도 270만기에서 1270만기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산업부는 "친환경‧전기차의 성장세로 충전인프라 시장에 대한 중요성이 커지면서 2030년 3,250억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기업 간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어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산업 육성과 수출 확대 정책이 필요한 상황이다"고 했다.
정부는 충전기 산업화 역량 강화, 해외시장 진출 확대, 충전기 생태계 활성화 3대 축을 중심으로 2030년까지 5대 핵심기술‧소프트웨어(SW)를 확보하고 세계시장 점유율을 지난해 1.2%에서 10%로 끌어올린다는 계획이다. 매출 500억원 이상 충전기 제조사도 5개 이상 육성한다는 목표다.
산업부는 이를 실행하기 위해 완성차 업계를 비롯해 충전기 제조업체, 부품업체, 충전서비스 운용사업자, 시험인증기관 등 40여 개 기업과 20여 개 기관 등이 참여한 '모빌리티 충전산업 융합얼라이언스'를 발족했다. 제조혁신, 서비스‧그리드 융합, 시험‧인증 신뢰성 강화, 시장진출 협력 4개 분야로 나눠 정책 과제를 추진하게 된다.
산업부 장영진 1차관은 "모빌리티 충전산업 융합얼라이언스가 모빌리티 충전산업을 수출성장동력으로 육성하는 발판이 되길 바란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