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이윤재 기자] 올 겨울 주요 철새도래지에 겨울철새가 전년 보다 늘어남에 따라 고병원 조류인플루엔자(AI) 발생지역을 중심으로 예찰을 강화한다.
환경부와 국립생물자원관은 지난 8일부터 3일간 주요 철새도래지 200곳에서 '겨울철 조류 동시 총조사(센서스)'를 진행한 결과 겨울철새 103종 136만여 마리가 관찰됐다고 밝혔다.
이는 2022~2023년 156만5291만 마리, 2021년~2022년 152만1015만 마리 등 예년 같은 기간 조사결과와 비교하면 각각 12.8%, 10.3% 감소했다.
지역별로는 충청남도에서 가장 많았고 전라남도, 서울‧인천을 포함한 경기도, 경상남도 순으로 겨울철생 발생이 많았다.
장소별로는 금강호, 금호호, 임진강 순으로 많이 관찰됐다. 철새 종별로는 가창오리가 33만여마리로 가장 많았고 쇠기러기(22만), 큰기러기(14만), 청둥오리(13만)가 뒤를 이었다.
조류 동시 총조사는 10월부터 다음해 3월까지 매달 실시 중으로 겨울철새의 전국적인 분포 경향을 상세히 파악해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대응에 활용하고 있다.
환경부는 이번 겨울철새 현황조사 결과를 관계기관에 공유하고 겨울철새가 북상하는 내년 2~3월까지 주요 철새도래지 87곳을 대상으로 주 1회 이상 예찰, 출입통제 관리, 시료 채취 등을 실시한다. 특히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발생지역에 대해서는 주 3회 이상 특별예찰을 실시해 대응을 강화할 방침이다.
곽충신 환경부 야생동물질병관리팀장은 "최근 야생조류뿐 아니라 가금농가의 닭, 오리 등에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발생이 늘어나는 만큼 철새도래지 주변 체육시설 이용, 낚시 등 야외활동에 더 많은 주의가 요구된다"며 "야생조류 폐사체 발견 즉시 해당 지자체와 국립야생동물질병관리원에 신고(062-949-4366)해 달라"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