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김균희 기자]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서 실시하는 '2023년 디지털정부' 평가에서 대한민국이 2회 연속 종합 1위를 차지했다.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OECD는 2019년 처음 회원국들의 정부·공공부문 디지털전환 수준을 측정하기 위해 디지털정부 평가를 실시하고 있다.
OECD는 지난해 디지털정부 평가에서 33개 회원국과 페루, 브라질, 아르헨티나 등 5개 비회원국을 대상으로 '디지털 우선 정부', '데이터 기반 정부', '플랫폼 정부', '개방형 정부', '국민 주도형 정부', '선제적 정부' 6개 부문에 대해 평가를 실시했다.
대한민국은 2019년 디지털정부 평가 1위에 이어 올해 발표된 제2회 평가에서도 2회 연속 종합 1위를 달성했다. 이어 덴마크와 영국이 각각 2, 3위로 뒤를 이었다. 상위 10개국 중 아시아 국가는 2019년 대한민국(1위)과 일본(5위) 2개 국가였으나 지난해에는 대한민국이 유일했다.
이번 디지털정부 평가 종합평가지수의 경우 우리나라는 0.935점(1점 만점)으로 2019년 0.742점에서 0.193점이 올랐다. 지난 1회 평가에서 대한민국(1위, 0.742)과 영국(2위, 0.736점)의 점수 격차가 0.006점인 것에 비해 대한민국과 덴마크는 0.124점 차이로 지난 평가에 비해 20배 이상 점수 차이를 보였다.
부문별로는 데이터기반 정부, 플랫폼 정부, 개방형 정부, 선제적 정부 4개 부문에서 1위를 기록했다. 디지털 우선 정부, 국민 주도형 정부 나머지 2개 부문에서는 2위를 차지했다.
행안부 이상민 장관은 "지난해 12월 OECD가 발표한 공공데이터 평가에 이어 디지털정부 평가에서 연속으로 1위를 차지할 수 있었던 것은 국민과 정부, 기업 모두가 노력한 덕분이다"며 "앞으로도 세계가 인정한 디지털정부 선도국으로서 편리하고 안정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디지털플랫폼정부를 만들어 나가겠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