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투데이 이지연 기자] 5대 대형 병원 전공의 전원이 사직서를 제출하고 20일 화요일 오전 6시부터 근무를 중단하기로 결의에 나선 가운데 의사 집단행동 중앙사고수습본부가 의료공백을 방지하기 위한 '집단행동 대비 비상진료대책'을 발표했다.
본부는 전국 409개 응급의료기관의 필수 진료기능 유지를 위해 신속한 현장 이송과 전원을 지원할 방침이다.
먼저 소방청과 협의해 꼭 필요한 중증응급환자 중심으로 대형병원 응급실을 이용할 수 있도록 중증도에 따른 환자 배정을 위한 이송지침을 적용한다. 중증응급환자는 권역응급의료센터 등 대형병원으로, 경증·비응급 환자는 지역응급의료기관 또는 인근 병·의원으로 이송된다.
또한 중중응급환자의 원활한 병원 간 전원을 지원하기 위해 중앙응급상황실을 20일부터 확대할 예정이다. 5월까지 단계적으로 개소 예정이던 서울·대전·대구·광주 4개소 광역응급상황실을 3월 조기 가동될 수 있도록 조치할 계획이다.
전공의가 상당수 근무하는 대형병원은 의료기관 자체 비상진료대책에 따라 중증응급수술, 중환자실, 투석실 등 필수의료 과목 중심으로 진료체계를 전환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중수본은 전공의 이탈로 진료 축소 시에는 진료조정 사유, 향후 진료일정 등에 대해 상세히 안내하도록 각 병원에 요청했다. 경증·비응급 환자는 대형병원에서 인근 종합병원으로 연계해 전원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지방의료원, 근로복지공단병원, 보훈병원, 적십자병원 등 97개 공공보건의료기관을 중심으로 평일 진료시간을 확대하고 주말과 공휴일 진료도 실시한다. 또한 수도병원, 대전병원, 포항병원 등 12개 국군병원의 응급실을 민간인에게도 개방해 응급의료체계 유지를 지원할 계획이다. 상황 장기화에 대비해 공중보건의, 군의관도 필요시 즉시 주요 의료기관에 지원할 수 있도록 사전에 준비할 예정이다.
급의료정보시스템을 활용해 동네 문 여는 의료기관을 실시간으로 수집하고 다양한 매체를 활용해 국민께 신속히 안내할 예정이다.
아울러 집단행동 기간 동안 비상진료대책이 실효성 있게 추진될 수 있도록 다양한 지원방안도 추진한다. 중증응급진료 기능 능을 유지하도록 한시적인 건강보험 보상 강화를 적용한다. 경증환자의 병·의원급으로의 회송료 수가도 높여 대형병원의 진료부담 완화와 비상진료 참여 인력 보상을 위한 지원도 강화한다.
비상진료에 성실히 참여한 의료기관에 추가적인 행정부담이 가중되지 않도록 공공의료기관평가, 응급의료기관평가 등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하는 각종 평가에서 불이익이 없도록 조치할 방침이다.
정통령 중앙사고수습본부 중앙비상진료상황실장은 "전공의를 포함한 모든 의료진이 환자 곁을 지켜주기를 간곡히 당부드린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