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정명웅 기자] 국토교통부는 국가별 심층정보 분석 사업을 기존 1개에서 6개국으로 확대한다.
유망국가 심층정보 고도화 사업은 현지어로 된 난해한 건설법령과 조세, 인허가 등 시장 정보 부족으로 현지 진출에 애로가 없도록 2021년부터 국토부가 추진 중인 사업이다.
2021년 베트남, 2022년 인도네시아, 지난해 사우디아라비아에 대한 심층분석을 시행한 바 있다. 올해는 호주(투자개발사업), 인도(교통인프라), 캐나다(친환경 에너지), 우크라이나(재건시장), 폴란드(유럽진출 거점), UAE(원전‧탈탄소) 등 핵심국가를 선정했다.
이를 위해 기업 설문조사와 전문가 자문회의 등 의견수렴을 거치고 사업 예산을 기존 3억원에서 20억으로 확대했다. 또한 도시개발‧스마트시티 진출을 활성화하기 위해 베트남‧인도네시아 등 주요 국가의 도시개발 법령‧토지보상‧부동산 분양제도 등을 분석했다.
국토부는 선진시장에 대한 진출정보와 함께 유럽연합(EU) 건설규정과 공공조달‧보조금 등 진입규제도 조사할 계획이다.
국토부 김상문 건설정책국장은 "심층정보 사업은 해외진출을 고민하는 중소·중견기업에게 좋은 평가를 받고 있다"며 "기업과 현장에 필요한 심층분석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해외 진출기업의 수주활동을 적극 지원해 나가겠다"고 했다.
국토부는 29일 부터 용역기관 모집 등 사업을 본격 착수하고 조사된 정보는 해외건설통합정보망(OCIS)을 통해 즉시 제공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