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이한별 기자] 학생건강검진을 학생과 학부모가 원하는 검진기관에서 받는 것이 가능해진다.
교육부와 보건복지부는 24일 서울비즈센터에서 '학생건강검진 제도 개선 추진단' 회의를 개최하고 학생건강검진 제도 개선을 위한 시범사업 계획을 논의했다.
현재 학생건강검진은 초등학교 1학년과 4학년, 중학교 1학년, 고등학교 1학년이 받는다.
그간 일부 학교는 검진기관 선정에 어려움을 겪고 있고 학생과 학부모는 지정된 검진기관이 멀어 이용하기 불편하다는 문제가 제기돼 왔다.
영유아검진 및 일반검진 결과는 국민건강보험공단의 '건강관리통합정보시스템'을 통해 관리되고 있으나 학생건강검진 결과는 학교장이 출력물로 관리하고 있어 생애주기별 연계·활용에 한계가 있다는 지적도 있었다.
추진단은 학교장이 지정한 검진기관에서만 가능했던 학생건강검진을 학생과 학부모가 원하는 국가건강검진 지정기관에서 언제든지 실시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검진 항목에 신체 발달상황 외에도 교육·상담 항목을 추가해 검진 시 의사가 비만, 약물 오·남용 예방 등에 대한 교육과 상담을 실시한다. 주요 내용은 개인별 검진 결과 통보서에 기재해 각 가정에서 자녀지도에 참고할 수 있도록 한다.
검진 결과는 학생·학부모에게 출력물로 제공하고 '건강관리통합정보시스템'에서 관리해 언제든지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추가 검사나 사후관리가 필요한 학생 정보는 교육행정정보시스템(나이스·NEIS)과 연계해 학교에서 사후관리에 활용하도록 한다.
교육부 이해숙 학생건강정책관은 "학생건강검진 제도 개선을 통해 그동안 학교 현장과 학부모님들이 겪었던 많은 문제들이 해소되길 기대한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