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이윤지 기자] 산사태 예측정보에 '예비경보'가 새로 추가돼 주민대피에 약 1시간을 확보하게 된다.
산림청은 기존 주의보, 경보 2단계로 운영 중이던 산사태 예측정보 체계에 '예비경보'를 추가해 주의보, 예비경보, 경보 3단계로 운영한다고 28일 밝혔다.
산사태 예측정보는 산림청이 운영하고 있는 '산사태정보시스템'에서 생산되는 정보다. 이 정보는 토양이 머금을 수 있는 최대 물의 양 기준으로 토양함수량이 80%에 다다르면 '주의보', 100%에 다다르면 '경보'가 자동 생산된다.
예측정보는 즉시 각 지방자치단체 담당자, 부단체장에게 전송돼 현장에서 주민대피, 산사태예보 발령 등을 위한 중요한 자료로 활용된다. 산사태정보시스템'과 모바일 '스마트산림재난' 앱에서 국민 누구나 실시간으로 확인 가능하다.
국립산림과학원에 따르면 토양함수량이 90%에서 100%에 도달하는데 평균적으로 약 1시간이 소요된다. 올해부터 '예비경보' 단계를 추가함으로써 약 1시간의 대피시간을 확보할 것으로 산림청은 예상했다.
산림청은 이번주부터 본격적인 장마가 시작됨에 따라 산사태 발생에 대비해 중앙산림재난상황실을 24시간 운영하고 각 지역 산사태취약지역을 우선으로 모니터링을 강화할 방침이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