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이윤지 기자] 가전제품 제조사의 플라스틱 재생원료 사용에 대한 인증방식이 표준화된다. 이를 통합해 관리할 수 있는 전산시스템도 구축된다.
환경부는 가전제품 제조사인 LG전자, 삼성전자와 재활용업체인 씨엔텍코리아, 이순환거버넌스와 함께 '전기·전자제품의 플라스틱 재생원료 사용인증 표준화 및 관리 시스템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을 19일 체결했다.
협약에 따라 가전제품 제조사는 폐전기·전자제품 재활용을 통해 순환되는 재생원료 사용을 확대하고 재활용업체는 재생원료의 품질관리를 강화하기로 했다. 환경부는 재생원료 사용인증을 위한 법과 제도를 정비하고 이해관계자 협의체를 운영해 개선 필요사항을 도출한다.
또한 환경부 산하기관인 한국환경공단은 재생원료 관리 표준 양식을 개발하고 제조사의 재생원료 사용실적을 확인하기로 했다.
이순환거버넌스는 유럽연합(EU)의 재생에너지지침에 걸맞은 재생원료 사용인증 방법론을 표준화하고 제조사의 증빙자료 제출 등 행정절차를 전산화하는 통합 관리 시스템을 내년 4월까지 구축할 예정이다.
이번 협약을 통해 사용인증 기준이 정비되면 가전제품 제조사들의 플라스틱 재생원료 사용 인정량이 현재 연간 2600톤에서 7000톤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정부의 제도적 지원과 업계의 노력까지 더해지면 사용량은 냉장고(26kg) 약 300만대를 생산할 수 있는 물량인 최대 8만 톤까지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유승광 환경부 자원순환국장은 "가전업계와 재활용업계가 쉽고 편리하게 접근할 수 있는 제도 운영으로 가전제품 내 재생원료 사용이 확대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