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김균희 기자] 폭염 특보가 전국으로 확대됐다. 가장 더운 오후 2시부터 5시에는 야외활동이나 작업을 되도록 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행정안전부는 25일부터 2주간 '폭염 피해 집중대응기간'을 운영한다고 밝혔다.
정부는 지난 21일 폭염 위기경보 수준을 '주의'에서 '경계' 단계로 상향하고 비상대응체계를 강화하고 있다.
'경계' 단계는 전국 특보구역의 40% 이상 지역에서 하루 최고 체감온도 33℃ 이상이 3일 이상 지속이 예상될 때 발령된다.
특히 비가 그친 후 습도가 높은 7월 말에서 8월 초 폭염으로 인한 인명피해가 50% 이상 집중 발한다. 지난해에는 온열질환 사망자 총 32명 중 25명이 이 시기에 발생했다.
이번 회의에서는 집중대응기간 중 폭염 인명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기관별 폭염 대책을 점검하고 대응 태세를 정비했다.
행안부는 주말·공휴일을 포함해 실시간으로 피해 상황을 확인해 대응할 것을 관계부처와 지자체에 당부했다.
질병관리청은 각 기관에서 폭염 대응에 활용할 수 있도록 온열질환 예방과 감시체계 전반에 대해 발표했다. 보건복지부는 전국 3만4천여 명의 생활지원사를 활용해 독거노인를 포함한 폭염 취약계층 지원과 안전확인을 강화한다.
고용노동부는 현장근로자에 대한 온열질환 예방 가이드의 준수 여부를 지도․점검하고 폭염이 심할 경우 작업시간 조정, 작업 중지 등 행정 지도할 예정이다.
농촌진흥청과 해양수산부는 농·어업인을 대상으로 폭염 대비 행동요령을 교육·홍보하고 특보 시 예찰을 실시하는 등 농·어업인 보호대책을 추진한다.
이한경 재난안전관리본부장은 "무더운 시간에는 야외 활동 자제하기, 물 많이 마시기 등 폭염 행동요령을 적극 실천해 주기를 바란다"며 "폭염에 취약한 이웃의 안전을 살펴서 함께 폭염을 극복할 수 있도록 협조를 부탁드린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