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김균희 기자] 최근 0~6세 영유아에서 수족구병이 크게 유행하고 있어 개인위생에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7월 3주(14~20일) 기준 0~6세에서 외래환자 천 명당 수족구병 환자 분율은 78.5명으로 최근 10년 간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이는 과거 최고 수준을 기록했던 2019년 동 기간 77.6명 보다 환자 수가 증가한 것이다.
수족구병 발생 연령은 18세 이하가 대부분을 차지했는데 1천명 당 0~6세 78.5명, 7~18세 18.2명으로 모두 지속적인 증가 추세를 보였다.
질병청은 "이는 코로나19 팬데믹 시기인 최근 3~4년 동안 수족구병의 유행이 크지 않아 지역사회 내 집단면역력이 낮아지면서 면역력이 약하고 개인위생이 취약한 영유아를 중심으로 유행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수족구병의 주요 감염경로는 손을 통한 분변·구강 감염, 환자의 침·가래·콧물과 같은 호흡기 분비물을 통한 비말 감염, 피부 물집에 직접 접촉 감염 등 다양하다. 환자가 만진 오염된 물건을 만진 손과 입을 통한 감염도 가능해 개인위생이 취약하고 집단생활을 많이 하는 영유아를 중심으로 발생하는 특징을 보인다.
일반적으로 수족구병에 걸리면 발병 후 2~3일 동안 발열, 식욕부진, 인후통, 무력감 등이 나타나다가 호전되면서 7~10일 내 저절로 없어지나 간혹 중증 합병증을 유발하는 경우가 있어 38도 이상의 고열, 팔다리에 힘이 빠지거나 구토, 경련 등의 증상을 보이면 신속하게 의료기관을 방문해야 한다.
수족구병을 예방하기 위해 가정에서는 영아의 기저귀 뒤처리 후 환자를 돌본 후 반드시 손을 씻고 배설물이 묻은 의류는 깨끗하게 세탁하는 등 철저한 위생 관리가 필요하다. 생활용품을 따로 사용해 가족 구성원 간 감염이 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어린이집·유치원 등은 장난감, 놀이기구, 문 손잡이 등 손이 닿는 집기에 소독 관리를 철저히 하고 영유아가 식사 전‧후, 화장실 사용 후 비누나 세정제로 30초 이상 손씻기를 하도록 해야 한다. 수족구에 걸린 영유아는 전염력이 강하기 때문에 완전히 회복될 때까지 어린이집이나 유치원 등원을 자제하도록 한다.
지영미 질병청장은 "수족구병은 아직 예방백신이 개발되지 않아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올바른 기침예절, 올바른 손씻기 등 예방수칙 준수가 중요하다"며 "특히 영유아 보육시설에서는 수족구병 예방관리를 위해 장난감을 포함한 물품 소독 등 위생관리를 철저히 해 줄 것을 당부한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