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이윤지 기자] 지리산국립공원 천왕봉 바로 아래 위치한 바위에서 지리산의 힘을 빌어 일제를 물리치고자 하는 의병의 염원을 새긴 바위글씨(石刻)가 발견됐다.
환경부 산하 국립공원공단은 이 바위글씨는 권상순(1876~1931) 의병장의 후손이 2021년 9월에 발견하고 지난해 11월 공단에 조사를 요청해 확인됐다고 13일 밝혔다.
경남 합천에서 태어난 권상순은 1894년 전후 지리산에 들어와 의병을 구성해 훈련을 시키고 일제에 대항하기 위한 방법을 찾기 위해 노력했다는 구전이 전해진다.
공단 연구진은 올해 4월부터 6월까지 이 바위글씨 전문을 촬영하고 탁본과 3차원 스캔 작업으로 기초조사를 펼친 결과 자연석 바위에 전체 폭 4.2m, 높이 1.9m의 크기로 392여자가 새겨진 것을 확인했다.
전국의 국립공원에서 확인된 근대 이전의 바위글씨(194개 추정) 중 가장 높은 지대인 해발 1900m에 위치해 있고 글자수도 가장 많았다.
연구진은 이 바위글씨의 글자가 마모돼 전체를 온전히 파악하기 어려워 자체 조사자료를 한국선비문화연구원 최석기 부원장과 한학자 이창호 선생에게 의뢰해 내용을 판독했다. 이 결과 구한말 문인 묵희(1875~1942)가 지은 것으로 1924년 지리산 천왕봉 밑의 바위에 새겨진 것으로 확인됐다.
바위글씨를 번역한 최석기 한국선비문화연구원 부원장은 "천왕(天王)을 상징하는 지리산 천왕봉의 위엄을 빌어 오랑캐(일제)를 물리쳐 밝고 빛나는 세상이 오기를 갈망하면서 나라를 빼앗긴 울분을 비분강개한 어조로 토로한 것이 석각의 가장 중요한 부분이다"고 했다.
송형근 공단 이사장은 "민족의 영산인 지리산 정상에서 일제에 대항한 의병과 관련된 바위글씨가 발견된 것은 국립공원 문화유산의 가치를 높여준다. 지리산 인문학과 지역학 연구에 아주 소중한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