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이선아 기자] ‘베테랑2’가 역대 추석 개봉작 중 최고 흥행을 달린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이 기간 이렇다 할 경쟁작이 없었다는 점에서 ‘베테랑2’의 흥행은 어느 정도 예상할 수 있는 결과라는 분석이다.
영화진흥위원회에 따르면 9월 극장의 전체 매출액은 1001억원, 관객 수는 1011만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2배 이상 증가했다.
이 중 한국 영화는 매출액이 810억원, 관객 수가 812만명으로 올해 들어 처음으로 80%가 넘는 점유율을 보였다. 이는 올해 1~9월 기준 한국 영화로는 연중 최고치에 해당되는 기록이다. 한국 영화 매출액은 전년 동월 대비 77.7%, 관객 수는 73.9% 증가했다.
9월 전체 흥행 1위 작품은 류승완 감독의 한국형 블록버스터 ‘베테랑2’가 차지했다. 추석 연휴 하루 전날인 9월 13일 개봉한 ‘베테랑2’는 2주가 조금 넘는 기간 동안 625억원의 매출과 649만명의 관객 수를 이끌며 9월 흥행 1위일 뿐만 아니라 역대 추석 개봉작 중에서도 가장 높은 성적을 기록했다.
다만 추석 연휴를 겨냥한 한국 영화 ‘천박사 퇴마 연구소: 설경의 비밀’(2023) ‘1947 보스톤’(2023) ‘거미집’(2023) 등이 경쟁을 벌였던 지난해와 달리 ‘베테랑2’는 이렇다 할 경쟁작이 없었고 대다수의 스크린이 1위 작품에 집중돼 있던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9월 외국 영화 매출액은 191억원, 관객 수는 198만명으로 전월 대비 56% 이상 감소했다. 외국 영화 1위 작품인 ‘에이리언: 로물루스’를 포함해 9월 외화 중 매출액 50억원, 관객 수 50만명을 넘는 작품이 없었다.
‘인사이드 아웃2’가 개봉됐던 6월 이후 외국 영화 부진이 계속되고 있고 9월까지 ‘인사이드 아웃2’와 ‘웡카’만이 300억원의 매출액과 300만명의 관객 수를 넘겼을 뿐이다. ‘엘리멘탈’(2023) ‘스즈메의 문단속(2023)’ ‘더 퍼스트 슬램덩크(2023)’ 등 다양한 메가히트 외국 영화가 나왔던 전년 동기와는 다른 양상이다. 결과적으로 외국 영화의 누적 매출액과 누적 관객 수 역시 전년 동기에 비해 30% 이상 줄었다.
‘임영웅’ 역대 공연 실황 1위..‘하츄핑’ 역대 한국 애니 2위
팬데믹 이후 공연 실황 영화들이 늘고 있는 가운데 가수 임영웅의 콘서트를 담은 공연 실황 영화 ‘임영웅│아임 히어로 더 스타디움’이 새로운 기록을 세웠다. 9월까지 누적 매출액 87억원(누적 관객 수 31만명)으로 공연 실황 영화 역대 흥행 1위에 오른 것이다.
‘사랑의 하츄핑’은 9월까지 103억원의 누적 매출액(누적 관객 수 115만명)으로 역대 한국 애니메이션 흥행 2위에 올랐다.
재개봉作 틈새 한국 독립․예술영화 선전
9월 독립·예술영화 흥행 1위는 4년 전 개봉됐던 중국의 청춘 로맨스 영화 ‘소년시절의 너’로 9월 한 달간 매출액 14억5342만원(관객 수 14만9122명)을 올렸다. 10년 전 영화인 ‘비긴 어게인’은 추석 연휴 마지막 날 재개봉해 14억3539만원의 매출액(관객 수 15만2602명)을 기록했다.
재개봉작 사이에서도 웰메이드 한국 독립·예술영화들에 대한 고무적인 평가가 돋보였다. 3위부터 6위까지 나란히 한국 독립·예술영화들이 올랐다. ‘한국이 싫어서’ ‘장손’ ‘그녀에게’ ‘딸에 대해’ 등 평단과 대중을 모두 사로잡은 한국 장편 극영화들이 두드러졌다.
영진위가 설립한 한국영화아카데미 출신 장건재 감독의 ‘한국이 싫어서’는 9월까지 5억26978만원의 누적 매출액(누적 관객 수 6만1209명)을 올리며 선전했고, 이는 9월 한국 독립·예술영화 최고 흥행 기록이었다.
한국영화아카데미 출신 오정민 감독의 ‘장손’은 특히 제28회 부산국제영화제 3관왕을 석권하며 평단의 찬사를 받았다. 1억8687만원의 매출액(관객 수 2만130명)으로 4위에 이름을 올렸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