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윤용 기자] 국가정보원은 북한이 지난 8일부터 러시아 파병을 위한 특수부대 병력 이동을 시작했다고 18일 밝혔다.
국정원은 지난 8월 초 북한 미사일 개발의 핵심인 김정식 군수공업부 제1부부장이 수십 명의 북한군 장교와 함께 수차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선 인근 북한 ‘KN-23 미사일’ 발사장을 방문해 현지 지도하는 정황을 포착했고, 이후 북한군의 동향을 밀착 감시하던 중 북한이 지난 8일부터 13일까지 러시아 해군 수송함을 통해 북한 특수부대를 러시아 지역으로 수송하는 것을 포착했다고 전했다.
국정원은 러시아 태평양함대 소속 상륙함 4척과 호위함 3척이 같은 기간 북한 청진, 함흥, 무수단 인근 지역에서 북한 특수부대 1500명을 러시아 블라디보스톡으로 1차 이송했고, 조만간 2차 수송 작전이 진행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러시아 해군함대가 북한 해역에 들어간 것은 1990년 이후 처음이다. 또 러시아 공군 소속 AN-124 등 대형 수송기도 블라디보스토크와 평양을 수시 오가고 있다.
국정원에 따르면 "러시아에 파병된 북한 군인들은 극동지역 블라디보스토크·우수리스크·하바롭스크·블라고베셴스크 등에 분산돼 현재 러시아 군부대에 주둔하고 있고 적응 훈련을 마치는 대로 전선에 투입될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지난달 11일과 이달 2일 두 차례에 걸쳐 특수전 부대를 참관했는데 러시아 파병에 앞서 직접 점검하고 격려하기 위한 의도로 풀이된다.
국정원은 "북한군은 러시아 군복과 러시아제 무기를 지급 받았으며 북한인과 유사한 용모의 시베리아 야쿠티야·부라티야 지역 주민 위조 신분증을 발급받았다"며 "전장 투입 사실을 숨기기 위해 러시아군으로 위장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특히 국정원은 북한이 작년 8월 이후 현재까지 총 70여 차례에 걸쳐 1만3000여개가 넘는 컨테이너 분량의 포탄과 미사일, 대전차로켓 등 살상무기를 러시아에 지원한 것으로 평가했다.
우크라이나 국방정보총국이 전장에서 수거한 북한제 무기를 확인한 결과 북한은 러시아에 지원한 무기는 122㎜ 포탄과 152㎜ 포탄, 불새-4 대전차미사일, KN-23 등 SRBM, RPG 대전차 로켓 등 이었다.
국정원은 그동안 북러를 오간 화물선 선적 컨테이너 규모를 감안할 때 지금까지 122㎜ 포탄과 152㎜ 포탄 등 총 800여만 발 이상이 러시아에 지원됐을 것으로 추정했다.
또 우크라이나 정부는 앞서 북한이 러시아에 지원한 KN-23이 수도 키이우 등 주요 도시 공격에 활용됐으며 이로 인해 상당수의 민간인 사상자가 발생했다고 발표한 바 있다.
다만 우크라이나 정보당국은 다수의 북한제 무기들이 불량률이 높고 정확도가 낮아 정밀타격용보다는 전선 유지 목적의 물량공세용으로 쓰이고 있다고 분석했다.
국정원 관계자는 "그간 해외 언론들이 제기한 북러 직접적 군사협력 의혹이 공식적으로 확인됐다”며 “우방국과의 긴밀한 정보협력을 통해 북러 군사협력 움직임을 지속 추적·확인할 것"이라고 밝혔다.
윤석열 대통령은 이날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북한 전투병의 러시아 파병과 관련해 긴급 안보회의를 주재하고 북한 전투병의 러시아 파병과 관련한 대책을 논의했다.
국가안보실과 국방부, 국정원 핵심 관계자 등이 참석한 이 자리에서 최근 북한군의 러시아 이동과 북한의 러시아 전쟁 지원 정보가 공유됐다.
아울러 북러 군사 밀착이 군사 물자 지원을 넘어 실질적 파병으로 이어진 작금의 상황이 한국은 물론 국제사회를 향한 중대한 안보 위협이라는 점에 인식을 같이 했으며 국제사회와 공동으로 가용한 모든 수단을 동원해 대응키로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