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남미 마약 조직, 아시아 진출 시도 우려

[시사투데이 = 이윤지 기자] 올해 상반기 국경단계에서 617건에 2680kg 규모의 마약류가 적발됐다. 이는 필로폰 1회 투양량(0.03g)을 적용했을 때 8933만 명이 동시에 투약할 수 있는 양이다.
29일 관세청은 '2025년 상반기 마약밀수 적발현황'을 발표했다. 올 상반기 마약밀수는 전년동기 대비 적발건수 70%, 중량은 800% 증가했다. 중량 기준으로는 역대 최대 규모다.
지난 4월 강릉 옥계항(1690kg)과 5월 부산신항(600kg)에서 연이어 적발한 대형 코카인 밀수사건(2건에 총 2290㎏)을 제외하더라도 올 상반기 적발 중량은 지난해 상반기보다 31% 늘었다.

적발된 마약의 주요 품목은 ▲코카인(2302kg) ▲필로폰(152kg) ▲케타민(86kg) ▲대마(65kg) 등이다. 이중 코카인은 지난해 상반기에 비해 적발 중량이 80배나 증가했다.
관세청은 중남미발과 북미·유럽발 마약밀수 증가의 영향으로 올 상반기 마약밀수 적발 규모도 커진 것으로 분석한다. 실제 국내로 밀반입하려던 마약의 주요 출발지역은 중량을 기준으로 중남미, 아시아, 북미, 유럽 등의 순을 보였다.
이중 중남미는 미국·캐나다의 고강도 국경 강화 조치에 따른 풍선효과로 현지 마약 조직이 아시아 등 새로운 시장으로 진출하려는 시도가 뚜렷해지면서 국내로 마약을 밀수하려는 시도가 빈번해진 것으로 관세청은 분석한다.
마약류 이동 경로 분석에서는 여행자와 특송화물을 이용한 마약밀수 시도는 증가하고, 국제우편을 이용하는 시도는 감소했다. 반대로 그간 국제우편으로 반입됐던 마약류 반입 시도는 특송화물 등으로 옮겨가면서 줄어든 것으로 분석된다.
이명구 관세청장은 "최근 2년 연속 국내 마약사범이 2만 명을 웃도는 등 우리 사회 전반에 깊숙이 침투하고 있는 실정"이라며 "관세청은 불법 마약류 해외 밀반입을 원천 차단해 마약으로부터 안전한 사회를 구현하는데 앞장서겠다"고 전했다.
시사투데이 / 이윤지 기자 journalist-lee@daum.net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