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이윤재 기자] 지리산 일대의 멸종위기 야생생물 Ⅰ급 반달가슴곰이 최근 겨울잠을 끝내고 활동을 시작한 만큼 지리산국립공원을 방문할 때는 정해진 탐방로만 이용하도록 국립공원공단이 당부했다.
지리산국립공원에는 올해 태어난 새끼 반달가슴곰 7마리를 포함해 반달가슴곰 86마리가 서식하고 있다.
새끼를 출산한 어미 반달가슴곰은 보호 본능이 강해 주의가 필요한데 탐방로에서 벗어날수록 마주칠 확률이 높다.
공단에 따르면 지난 10년간 지리산에서 수집된 반달가슴곰 위치정보 3만여 건을 분석한 결과 탐방로 주변 10m 이내에서 관찰된 빈도가 0.44%, 100m 이내가 2.86%, 1㎞ 이내는 61.43%로 탐방로에서 멀어질수록 활동 빈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은 반달가슴곰이 사람에 대한 경계심과 회피 성향이 강해 탐방객들이 많이 이용하는 탐방로를 피해 깊은 산림 속에 주로 서식하는 특성을 보여 주는 결과라고 공단은 밝혔다.
공단은 반달가슴곰과 사람이 자연 속에서 건강하게 공존하기 위한 적극적인 홍보활동에 나선다.
주요 탐방로와 샛길 입구 등 주요 지점 450곳에 반달가슴곰 출현지역을 알리는 현수막을 설치하고 탐방객에게 종이나 호루라기 등 안전사고 예방 물품을 나누어 주기로 했다. 또한 탐방객과 반달가슴곰이 마주치지 않도록 무인 안내방송시스템도 100개에서 120개로 확대하고 대피소·탐방로마다 곰 활동지역과 대처요령 등을 적극 안내한다.
만약 멀리서 곰을 본 경우에는 조용히 자리에서 물러나도록 한다. 가까이에서 곰을 만났다면 먹을 것을 주거나 사진을 찍는 행동을 하지 말고 시선을 피하지 않은 채 뒷걸음으로 벗어나야 한다. 곰이 공격할 경우 막대기 같은 것을 사용해 저항한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