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홍선화 기자] 내년부터 고교학점제가 전면 도입되는 가운데 고등학생이 대학에서 개설한 '고교-대학 학점 인정 과목'을 이수하면 고교와 해당 대학에서 학점을 모두 인정받게 된다.
교육부는 11일 이러한 내용의 ‘고교-대학 연계 학점 인정 체제 구축 운영 방안’을 마련해 현장에 안내한다고 밝혔다.
교육부는 그동안 고교생의 과목 선택의 폭을 넓히기 위해 학교 내 개설이 어려운 과목을 타학교 또는 대학·기관 간 연계를 통해 운영하는 ‘공동교육과정’, 공동교육과정 개설이 어려운 과목에 실시간 쌍방향 수업을 제공하는 ‘온라인학교’, 대학·기관에서 이루어지는 ‘학교밖교육’ 체제를 마련해 운영해 왔다.
이번 방안은 내년 고교학점제 전면 시행을 앞두고 학교밖교육을 활성화함으로써 학교의 과목 개설 부담은 낮추고 학생의 다양한 과목 수요와 수업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마련됐다.
우선 시도교육청과 지역대학이 맺은 상호협약에 따라 대학은 시도교육청의 지원을 바탕으로 과목을 개발하게 된다. 시도교육청은 고등학교 학생 수요를 확정해 대학에 마련된 시설과 기자재로 방과 후·주말·방학 등에 수업한다.
평가 실시 여부와 방법은 대학에서 자율적으로 결정하게 된다. 다만 고교 학생부에는 원점수, 성취도, 석차 등급 등 성적은 산출하지 않고 과목명, 학점과 함께 학생이 학습한 객관적 내용만 기재될 예정이다.
교육부는 내년 5개 시도교육청 관내 15개 대학과 함께 시범적으로 사업을 운영할 예정이다. 부산대, 부산외국어대, 영남대, 대구보건대, 조선대, 조선간호대, 울산대, 전북대, 전주교대, 국립군산대, 군산간호대, 원광대, 전주대, 전주비전대, 우석대가 참여한다.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그간 대학이 고교교육에 참여하는 사례는 많았지만 학생이 학교밖교육 기관으로 지정된 대학의 수업을 듣고, 고교와 대학의 학점으로 인정받는 사례는 이번이 처음이다”며 “이번 고교-대학 연계 학점 인정 체제 마련을 계기로 고교학점제 현장 안착에 필요한 다양한 정책을 적극 발굴해 나가겠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